※ 이 포스팅은 필자의 아카이빙 용도입니다.
#1 어떻게 경영학 공부할 것인가?
리더십은 결과론적인 것이 아니라 과정이 중요하다. 또한 기업 경영은 경영학적 스킬 뿐 아니라 인문학적 소양이 기본이 되야한다.
경영을 위한 인문학적 소양에는 경제, 통계, 심리, IT가 있다. 이외에도 자기만의 철학과 신념을 가지고 기업을 경영하는 것이 중요하다.
3) 경영학 공부 방법론
- 창업
- 케이스 스터디
단 다른기업을 모방하기가 어려우며, 케이스를 통해 시사점을 얻는다고 해도 자신의 조직에 그대로 적용하기는 쉽지 않다. 또한, 당시 각 기업마다 상황이 다르며, 결과론적인 측면에 갇힐 수 있다. (ex 삼성의 반도체 투자는 지금보면 너무 당연한 의사결정이었지만, 그 당시에는 예측할 수 없는 의사결정이었다.)
- 주변을 보고 질문하기
- 이 회사의 비즈니스 모델은?
- 이 회사의 핵심역량은?
- 이 회사의 주요 타깃 고객은?
- 이 회사의 경쟁사는?
- 이 회사의 경쟁사 대비 차별점은?
- 이 회사의 경쟁사 대비 원가경쟁력의 원천은?
- 이 회사의 매출은? (어떻게 예측할 수 있을까?) → 추론이 중요 (ex 스타벅스 광화문점 매출 추론)
- 이 회사의 이익률은? (동종업계 대비 높을까?)
경영하며 절대로 직관을 믿지마라! 직관에 의존하며 검증되지 않은 사실들을 사실로 받아들이고 있을지 모른다. 당신의 뇌가 그럴듯한 이유를 만들어내는 것을 경계하라
4) 돈을 버는 행위에 대한 철학
[경영자가 조심해야할 3가지 습관]
- 지나치게 논리적, 이성적이려고 노력
- 항상결론을 유도하려 함
- 끝까지 상대방을 설득 시키려 함
>> 내 자신이 똑똑하고, 효율적이고, 우월하다는 망상 속에 갇힐 수가 있다.
중요한 것은 공감능력이다. 이성적이면서도 소통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감성적인 마인드, 마지막으로 철학을 겸비한 좌뇌형 인재가 되어야한다.
[아이디어 회의 방식]
- Gut Feeling First: 직감을 먼저 이야기하고, 이후에 이유를 찾아가면서 토론하는 것
- 브레인스토밍: 비판하지 말고 일단 다 들어보는 것이 중요
#2 고객, 기업가 정신, 가치 창출
#3 전략은 왜 필요할까?
#4 경영의 언어, 회계
매출원가: 제조원가 외에도 매출을 발생시키기 위해 꼭 필요한 비용
매출총이익: 매출 - 매출원가
매출총이익률: 매출총이익/매출
* 매출(Top Line)이 증가한다는 것은 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한다는 뜻
영업이익(EBIT): 매출총이익 - 판관비(판매비, 관리비) [세금, 이자 및 부채는 계산에서 제외]
영업외수익, 영업외비용: 이자, 기부금, 재고자산, 잡손실 등 영업과 관련없는 내용
법인세: 세금
당기순이익(Bottom Line): 매출 - 매출원가 - 판관비 - 법인세 등등
<본책 231쪽>
포괄손익: 모든 거래나 사건에서 인식한 자본의 변동을 말한다.
2) 재무상태표(대차대조표) 읽는 법
손익계산서가 일정기간 동안 기업의 모습을 보여준다면, 재무상태표는 특정한 시점의 기업 보습을 보여준다. (통상 회계년도 말)
자산을 왼쪽, 자본과 부채를 오른쪽에 놓고 장부를 그리기 때문에 밸런스시트라고도 한다. (왼쪽과 오른쪽 각각의 합은 항상 같아야 한다.)
<자산>
통제가 가능하고 미래에 경제적인 가치를 창출할 수 있어야함
유동자산: 1년이내 현금화 할 수 있는 자산
비유동자산(고정자산): 투자, 유형 무형 자산이 있다.
투자자산: 주식, 채권 부동산 중 1년이내 현금화 가능성이 낮은 것
유형자산: 기계, 공장 및 토지. 감가상각(Depreciation)이 들어감
무형자산: 특허권, 브랜드, 영업권. 무형자산의 감가상각은 애모티제이션(Amortization)이라고 한다.
<부채>
매입채무: 제품 및 상품을 거래처에서 인수 받았지만, 아직 돈을 지급하지 않은 것
미지급금: 제품, 상품 이외에 토지, 건물, 비품 등에 대해 지급하지 않은 금액
차입금: 회사채(신용등급에 영향을 끼침), 은행으로부터 받는 차임
충당부채: 마일리지, 포인트 등 되돌려줘야하는 부채
우발부채: 가능성이 높지 않으나 발생할 수도 있는 부채 (소송에 대한 패소 등)
<자본>
주주에게서 조달된 금액 (스스로 조달한 돈 및 기업 활동을 토앻 남은 돈)
보통주: 의결권 및 배당 권한을 가짐
우선주: 의결권은 가지지 못함
이익잉여금: 쌓아둔 순이익
기타포괄손익: 주식, 토지 등 시장가치 변화에 따라 가격이 상승 혹은 하락되는 것
3) 현금은 기업의 혈액이다
기업의 회계는 현금주의가 아니라 발생주의 를 따른다. 즉 매출 발생시점은 현금을 받은 시점이 아닌, 물건이 판매된 시점이다.
이렇기 때문에 매출이 수천억대여도 대금을 지급받지 못해 파산하는 '흑자도산'이 종종 나타난다.
이를 방지하고자 기업의 현금흐름을 나타내는 현금흐름표가 도입되었다.
* 부채가 높다고 꼭 나쁜 것은 아님. 이자를 갚을 능력만 있다면 법인세 감면의 효과가 있음.
#5 재무 (건너뜀)
#6 마케팅, 누구에게 어떻게 사게 할 것인가?
![]() |
|
'Book' 카테고리의 다른 글
[Book #9] 현남오빠에게 (0) | 2017.12.24 |
---|---|
[Book#8] 창업가의 브랜딩 (0) | 2017.12.15 |
[Book#6] 트렌드 코리아 2018 (0) | 2017.11.12 |
[Book#4] 사회초년생 월급으로 살아남기 (0) | 2017.05.08 |
[Book#3] 읽기 좋은 코드가 좋은 코드다 (0) | 2017.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