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이 되어 출근을 몇 주 앞두고, '월급을 받으면 어떻게 써야하지?'라는 고민이 시작되었다.
군대 전역 이후로 아르바이트를 해가며 용돈을 벌지 않았지만. 버는만큼 쓰는 소비행동에 딱히 모은 돈은 없다.
또한 재태크에 대해서는 '적금'말고는 아는 것이 전혀 없는 상황이었다.
직장인이 되어 월급을 받게되면 조금 건설적으로 재테크를 해봐야지라는 마음으로, 교보문고로 향해 책을 다 읽고 돌아왔다.
책에서 중요하게 읽고 적어온 내용을 나중에 잊어먹지 않기 위해 간단히 적어 놓고자 한다.
(필자가 기억하기 위해 적는 내용이므로 이해가 쉽지 않을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책을 보는게 좋다.)
1. 시작
4개의 통장을 만드는데서서 시작한다.
*월급이 200만원 전후인 사회 초년생을 기준
1) 급여통장
월급을 받는 통장이며, 돈이 들어오면 급여 통장에는 돈을 남겨 놓지 않고, 빠른 시일내로 다른 통장으로 이동한다. CMA통장을 사용하면 이자로 이득을 볼 수 있지만. 주거래통장을 만들기 위한 의미에서 은행 보통예금 통장을 만드는 것도 좋다.
2) 소비통장
월급의 2~30%를 소비하는 것이 가장 좋다. 줄이면 줄일수록 많이 모을 수 있다. 3개월 정도 지출내역을 분석해서, 고정지출 등을 파악하여 나의 소비패턴을 파악해보도록 한다.
3) 투자통장
투자통장은 보험, 적금, 펀드 등 투자를 위한 통장이다. 급여의 60%정도가 적당하며, 소비를 줄이면 더 늘릴 수 있다. 투자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뒤에 따로 서술하겠다.
4) 예비통장
사고, 경조사 등 예상치 않게 큰 돈이 나갈 때가 있다. 이때를 대비하여 예비통장에 일정 금액을 모아두어야 한다. 급여의 10%정도를 저장하며, 월 소비액의 3배정도 금액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 '일' 단위로 이자가 붙는 CMA통장을 활용한다면, 입출금이 자유로우면서도 이자를 챙길 수 있다.
2. 투자하기
저축성 보험 등 10년 이상 장기 투자에 활용한다. 장기투자인 만큼 이율이 시중 적금보다 배 이상 높다. 투자금액의 30%정도를 장기적금에 투자하면 좋다. 단, 저축성 보험을 가입할 때 '추가납입제도'를 잘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 '고정납입'에 비해 '추가납입'시 수수료가 훨씬 적기 때문이다. 또한 순수보장형 및 비갱신이 지원되는 것을 추천한다.
3. 기타
1) ISA통장
정부에서 투자 확대를 위해 만든 통장으로, 투자통장이라고 보면 된다. 장점은 비과세 혜택을 볼 수 있으나, 5년동안 돈이 묶여 있게 된다. 꼼수가 있다면 4년동안 기본 예치금만 넣어 두었다가 1년 남았을 때 적금을 가입하면 비과세혜택을 보고 만료 받을 수 있다.
2) 주택청약
예전에 비해 많이 혜택이 줄었지만. 내 집 마련이 꿈이라면 꼭 필요한 통장이다.
3)주거래은행
![]() |
|
'Book' 카테고리의 다른 글
[Book#7] 지금 당장 경영학 공부하라 (0) | 2017.11.26 |
---|---|
[Book#6] 트렌드 코리아 2018 (0) | 2017.11.12 |
[Book#3] 읽기 좋은 코드가 좋은 코드다 (0) | 2017.04.23 |
[Book#2] 대화의 신 (래리킹) (0) | 2017.01.03 |
[Book#1] 삼성처럼 회의하라 (0) | 2017.01.03 |